본문 바로가기
건강

전립선염 어떤 증상이?

by 별하사랑 2019. 10. 1.
전립선이란?

전립선은 소변과 정액의 통로 역할을 하는 요도관으로 둘러싸고 있습니다. 전립선의 경우 외부에서 쉽게 만져볼 수 없으며 남성의 골반 깊숙이 위치해 있으며 방광의 방광 바로 아래 위치하고 있습니다. 전립선은 정액의 30%를 생성하며 전립선에서 분비하는 전립선액은 정자의 영양을 공급하고 운동능력을 향상시킨다고 합니다.

 

전립선염의 원인?

전립선염의 경우 흔한 남성 질환 중 하나이며 일상생활에 많은 불편감을 만드는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전립선염은 요도 내에 존재하는 세균이 전립선으로 거슬러 올라가 발생할 수도 있고 감연된 소변이 전립선 도관을 통해 거꾸로 들어가서 전립선에 염증을 일으키는 경우도 간혹 있다고 합니다. 또 다른 이유로는 신체에 다른 부의 쪽에 생긴 염증 세균이 피의 흐름을 타고 전립선 내부로 들어가 발생하는 경우도 있으며 전립선 바로 뒤쪽에 있는 직장 내 세균이전립선으로 직접 들어가거나 림프선을 통해 전립선염을 일으키는 경우도 있다고 합니다. 

전립선염의 경우 원인균에 대해서 정립되지 않은 부분이 많지만 대장균, 대변 연쇄구균 그람 양성균 등이 주원인균으로 알려져 있다고 합니다. 이밖에도 생활습관에 따라 원인되기도 하는데 오래 앉아서 업무를 보는 습관이나 고환과 항문부위의 회음부에 압력이 가해지는 운동이나 일을 하는 경우에도 전립선염을 유발할 수 있다고 합니다.

전립선염의 증상?
전립선염 증상은 4군으로 분류하여 정의를 할수 있다고 합니다.
제1군 - 급성 증상을 동반한 세균감염(급성 세균성 전립선염)

급성 전립선염의 경우 세균감염으로 인해 급성으로 진행되며 성기나 고환, 하복부의 통증, 전신 발열, 상기 부위의 작열 감등의 증상이 있으며 잔뇨 및 빈뇨 증상이 발생하는 경우도 있다고 합니다. 또한 작열감과 요폐, 전신 발열 등의 증상이 보고 되기도 한다고 합니다.

 

제2군 - 재발성 세균성 전립선감염(만성 세균성 전립선염)

만성 전립선염의 경우 전립선염이 재발되면서 원인균이 검출되는 경우로 하복부 통증, 고환, 회음부 등에 방사통이 발생할 수 있으며 회음부 통증이 있는 환자의 경우 앉아 있기 힘들 정도의 통증이 있는 경우도 있으며 잔뇨와 빈뇨, 일부 환자의 경우 소변을 볼 때 따금거리거나 간질거리는 증상을 호소하는 경우도 있다고 합니다.

 

제3군 - 명확하게 원인을 확인할수 없는 감염(만성 비세균성 전립선염)

만성 비세균성 전립선염은 통증이나 불편감이 있을 수 있으며 골반 부위나 치골상부, 허리, 사정통이 발생하는 경우도 있다고 합니다.

 

제4군 - 주관적 증상이 없는 무증상성 염증성 전립선염

무증상성 염증성 전립선염으로 말그대로 무증상이기 때문에 특별한 증상이 없는 경우라고 합니다.

전립선염 치료는?
제1군 전립선염

급성 세균성 전립선염의 경우 충분한 휴식과 안정, 해열진통제를 투여하고 항생제 치료를 한다고 합니다. 일부 급성요폐 증상이 있는 경우는 도뇨관을 삽입하여 도뇨를 돕는 경우도 있다고 합니다.

 

제2군 전립선염

만성 전립선염의 경우 일정기간 동안 항생제 치료를 시작하고 세균의 종류에 따라 12주간 치료를 받기도 한다고 합니다.

 

제3군 전립선염

만성 비세균성 전립선염의 경우도 세균이 배양되지 않았으나 세균 감염을 완전히 배제할수 없기 때문에 4~8주간 항생제 치료를 한다고 합니다.

 

제4군 전립선염

무증상 전린섭염의 경우는 일반적으로 치료가 필요하지는 않는다고 합니다.

 

전립선염의 경우 증상이 있을 때 바로 병원에 내원 후 그에 맞는 치료를 받는 게 좋으며 전립선염은 만성 질환이기 때문에 초기에 적극적으로 치료를 받는 게 좋으며 의심 가는 증상이 발생한다면 의료기간에 방문하여 그에 맞는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게 좋습니다. 전립선을 예방하는 방법으로 규칙적이고 충분한 수면 및 운동을 하는 것이 좋으며 너무 오래 앉아있거나 전립선을 압박하는 행동을 피하는 게 좋다고 합니다. 또한 평소에 좌욕을 시행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며 스트레스는 면역력을 감소시키기 때문에 피하고 자극적인 음식이나 술, 담배는 피하는 것이 좋다고 합니다.

 

 

 

 

반응형